본문 바로가기
건강

당뇨망막병증 증상 및 치료 예방법은?

by 유힝 2024. 4. 16.
728x90
반응형

당뇨망막병증이란?

당뇨망막병증은 당뇨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망막의 미세 혈관 손상입니다. 만성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망막의 혈관이 막히거나 기능이 저하되어 시력 저하, 실명 등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 중 25% 이상이 당뇨망막병증을 앓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인 실명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diabetic-retinopathy
당뇨망막병증

당뇨망막병증 원인은?

당뇨망막병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고혈당과 만성 염증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혈관 내피세포가 손상되고 혈관벽이 두꺼워져 혈류 공급이 감소합니다.

 

또한, 만성적인 고혈당은 염증 반응을 유발하여 혈관 새는 현상을 일으키고, 이는 망막의 혈관 손상을 더욱 악화시킵니다.

 

* 당뇨망막병증의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인

 

고혈당 : 당뇨병 관리가 부적절하고 HbA1c 수치가 높을수록 발병 위험 증가

고혈압 : 고혈압이 동반되면 망막 혈관 손상 위험 증가

고지혈증 : 혈중 지방 수치가 높으면 혈관 손상 위험 증가

흡연 : 흡연은 혈관 건강을 악화시키고 당뇨병 합병증 위험 증가

장기간의 당뇨병 : 당뇨병 진단 후 오랜 기간이 지날수록 발병 위험 증가

나이 : 나이가 들수록 발병 위험 증가

신장 질환 : 신장 질환이 있는 경우 당뇨망막병증 발병 위험 증가

당뇨망막병증 증상은?

당뇨망막병증의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지만,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시력 저하 : 점진적이거나 급격한 시력 저하

무지개 빛 : 시야에 무지개 빛이나 번쩍임이 보임

시야 흐림 : 시야가 흐릿하거나 뿌옇게 보임

시야 결손 : 특정 부분의 시야가 보이지 않거나 검은 점이 보임

색맹 : 색깔 인식 능력 저하

야맹증 : 어두운 곳에서 보기가 어려움

 

당뇨망막병증이 심각해지면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황반부종 : 망막 중심부의 황반이 부어 시력이 크게 저하됨

망막 박리 : 망막이 망막 색소층에서 떨어짐

신생혈관 형성 : 망막에 비정상적인 혈관이 생김

유리체 출혈 : 망막 뒤 공간에 혈액이 흘러나옴

녹내장 : 안압 상승으로 시신경 손상

당뇨망막병증 치료법은?

당뇨망막병증의 치료 목표는 시력 저하를 막고 실명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치료 방법은 질환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

 

* 초기 단계

 

혈당 관리 : HbA1c 수치를 7% 미만으로 엄격하게 관리해야 함

혈압 관리 : 고혈압이 있는 경우 적절한 약물 치료를 통해 혈압을 130/80 mmHg 미만으로 관리해야 함

고지혈증 관리 : 혈중 지방 수치를 정상 범위로 유지해야 함

흡연 금지 : 흡연은 혈관 건강을 악화시키므로 즉시 금연해야 함

728x90
반응형

댓글